대동막 박리(Aortic dissection)
1. 개요
- 대동맥 박리는 동맥벽에 깊은 골이 생기면서 내막이 찢어져 발생하게 되는 질환이다.
- 흉부 대동맥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난다.
- 여성보다 남성에게 더 흔하며, 40대에서 70대 사이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 급성, 만성 둘다 진행되며, 급성인 경우 외과적 수술이 불가능하여 사망률이 90%이다.
2. 병태생리
- 동맥에 깊은 골이 생기면서 내막이 찢어져 내부와 중간 사이에 부적절한 통로가 형성된다.
- 심장의 수축력으로 이러한 손상 위치에 압력이 증가되어 박리가 진행된다.
- 결국 박리로 인하여 근위부 또는 말단부로 확장되어 대동맥 주요 가지를 폐색시키게 되며 뇌, 복부 장기, 신장, 척수, 사지의 혈액공급이 차단되게 된다.
3. 요인, 원인
- 주요 원인은 발견되지 않았으나, 노인, 만성 고혈압인 경우 발병율이 높게 나타난다.
- 둔탁한 외상, 스트레스, 임신인 경우에도 대동맥 박리의 위험성이 증가한다.
4. 임상증상
1) 급성 대동맥 박리의 경우 갑작스럽고, 가슴 앞쪽으로 심한 통증을 느끼거나 척추 아래에서 복부나 다리로 방사되는 견갑골 내의 통증을 느낀다. 박리가 진행되면서 통증이 횡경막 아래와 양 쪽 위로 나타날 수 있다.
2) 대동맥궁이 포함된경우, 환자는 의식 수준의 변화, 어지러움, 경동맥 또는 측두엽 맥박의 약화, 소실을 포함하는 신경학적 병변이 나타난다.
3) 상행 대동맥 박리는 보통 관상동맥 혈류를 방해하고 심장판막부전증이 나타나면서, 협심증, 심근경색, 이완기 심장 잡음이 발생한다.
4) 쇄골하동맥이 침범된 경우 요골맥박, 척골맥박, 상완맥박과 양측 팔의 혈압차이가 나타난다.
5. 합병증
- 심장압전(cardiac tamponade) - 혈액이 심낭으로 유입되면서 일어난다. 증상으로는 저혈압, 좁아진 맥압, 경정맥의 팽창, 심음감소, 기이맥(pulsus paraadoxus)이 나타난다.
- 대동맥파열의 가능성이 높아지며 종격, 늑막, 복강으로의 출혈이 나타날 수 있다.
- 척수의 허혈이 나타나 통증 감각 약화와 감소, 하지 마비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난다.
- 신장 허혈이 나타난 경우 신부전을 일으킬 수 있으며 복부의 허혈은 복부통증, 장음 소실, 장 배설의 변화가 나타난다.
6. 진단검사
1) 심초음파를 통해 좌심실 비대를 관찰한다.
2) 흉부 X-ray 를 통해 종격의 윤곽과 좌측 흉막삼출액을 관찰할 수 있다.
3) MRI 또는 MD-CT는 응급 상황에서 사용되는데, 이는 박리의 존재와 심각성에 대한 정보를 나타낸다.
7. 치료
- 치료 목표 : 대동맥 안에서 맥박이 뛰는 힘을 줄이기 위해 혈압과 심근 수축력을 낮추는 것이다.
1) 보존요법
- 증상이나 합병증이 없는 대동맥 박리 환자의 경우 시행된다.
- 주로 지지적인 치료가 시행되며 통증 감소, 수혈, 심부전을 관리하는 방법이다.
- 주로 하행 대동맥에 대동맥 박리가 진행된 경우 보존요법을 시행하지만, 상행 대동맥 박리의 경우 응급 수술이 필요하다.
2) 수술요법
- 증상이 있거나 합병증이 나타나는 경우 시행된다.
- 내부가 찢어진 대동맥 부분을 절제하고, 합성 이식물질로 대체하는 수술을 진행한다.
- 신속한 외과 중재를 실시하여도 급성 대동맥 박리의 경우 한달 사망율은 10~28%에 달하며 심근경색, 뇌허혈, 출혈, 복강허혈, 폐혈증, 장기부전으로 인해 사망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8. 간호
1) 수술 전 환자를 반좌위 포지션을 통해 수축기 혈압을 낮추도록 한다.
2) 마약류, 진정제가 처방될 수 있다.
3) 지속적인 항고혈압제의 혈관 주입은 지속적인 심전도와 동맥압 관찰이 필요하다.
4) 혈압조절을 위한 약물에 대한 교육을 하고, 평소 불안감을 완화 할 수 있는 방법을 교육한다.
'다양한 성인병에 관한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서운 혈관질환! 대동맥류(Aortic aneurysms)/경동맥질환/대동맥질환/말초동맥질환/간호/합병증/병태생리/원인/치료 (0) | 2023.10.26 |
---|---|
말초 동맥에 생기는 무서운 질환(Peripheral arterial disease)/간호/합병증/원인/병태생리/요인/치료/수술/약물 (0) | 2023.10.26 |
정맥류(Varicose veins)/하지정맥류/간호/치료/원인/진단검사 (0) | 2023.10.21 |
상부 위장관 출혈/토혈/위 출혈/간호/치료/진단검사/원인/예방/피 토함/간호진단 (0) | 2023.10.21 |
위식도 역류질환(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합병증/간호진단/간호/치료/원인 (0) | 2023.1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