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 정맥류
1. 개요
ㆍ정맥이 장기간 확장되어 울퉁불퉁하고 비틀어져 보이는 형태이다.
ㆍ주로 여성과 가족력이 있는 환자에게서 더 보편적으로 발생한다.
ㆍ일차성 정맥류와 이차성 정맥류로 나뉘는데, 일차성 정맥류는 정맥의 선천적인 쇠약에 의해 발생되며, 이차성 정맥류는 식도, 항묵직장 부위(치질), 비정상적인 동정맥 연결에서 발생한다.
2. 병인과 병태생리
ㆍ보통 정맥류의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다.
ㆍ위험 요인은 정맥 구조의 선천적인 쇠약, 여성, 호르몬의 사용(경구피임약, 호르몬 대체요법), 연령, 비만, 임신, 혈전, 정맥폐색, 혹은 계속 서있는 직업을 가진 경우 이다.
ㆍ정맥이 계속 확장되어 있으면 판막이 늘어나게 되고 무력해져서 정맥의 흐름에 역행이 일어난다. 결국 역압이 증가하고 종아리 근육 펌프가 부진되며 정맥이 팽창하게 된다.
ㆍ증가된 정맥압으로 모세혈관계 부종까지 발생하게 된다.
3. 임상증상, 합병증
ㆍ정맥류의 가장 보편적인 증상은 오랫동안 서 있는 경우 통증이 발생하는 것이다. 걷거나 다리를 상승시키면 통증은 완화된다. 다리에 압력이나 조이는듯한 감각을 느끼며 부종이 동반되기도 한다.
ㆍ야간에 종아리 다리 경련이 발생한다.
ㆍ합병증으로는 표재성 혈전정맥염이 발생할 수 있다.
4. 진단검사
ㆍ보통 외형으로 진단된다.
ㆍ이중 초음파 : 폐색을 확인하고 정맥류의 역류를 정확하게 발견하다.
5. 치료
ㆍ단순히 외형적 문제라면 치료가 필요하지는 않다.
ㆍ그러나 정맥의 기능부전까지 발생한 경우에는 침범 받은 사지를 향상시키며 휴식을 하고, 압박스타킹으로 정맥 귀환량을 높여주며, 걷기와 같은 운동을 해야 한다.
ㆍ경화요법(sclerotherapy) : 정맥 모세관 확장증, 그물정맥, 작은 표재성 정맥류를 제거하는 물질을 주사하는것이다. 경화제를 단독으로 주사하거나 경화제와 기포제의 혼합물을 주사하는 두 가지 경화요법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고장성 식염수, 식염수, 고장성포도당, 유의지방산 나트륨염이 사용 될 수 있다.
ㆍ비침습적인 치료방법으로는 레이저치료와 광 펄스치료라는 방법이 있다. 레이저나 광치료 모두 작은 모세혈관 확장증, 경화요법이 금기 되거나 비효과적이였을 경우 시행된다. 레이저 치료는 6~12주 간격으로 한번 이상 시행된다.
ㆍ마지막 방법으로 수술이 있는데, 수술은 재발하는 혈전정맥염이나 만성 정맥 기능부전이 보존적인 치료로는 통제되지 않는 경우 시행한다. 방법으로는 정맥 절제술, 정맥결찰이 있다.
6. 간호
ㆍ정맥류와 관련된 핵심 요인은 예방하는 것이다.
ㆍ장기간 앉아 있거나 서있지 않도록 교육하고 체중을 적절하게 유지하고, 조이는 옷을 입지 않고 매일 걷기 운동을 하도록 권유 한다.
ㆍ정맥 결찰 수술 후에는 심호흡을 격려하여 우심장으로의 정맥 귀환량을 촉진시킨다. 사지의 색, 움직임, 감각, 온도, 부종, 발의 맥박을 확인하고 수술 후 부종을 예방하기 위해 다리를 15도 정도 거상하도록 한다. 압박스타킹을 제공한다.
ㆍ장기간의 정맥류 관리로 순환 증징, 불편감 완화, 외형 향상, 표재성 혈전 정맥염을 예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