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막염(Peritonitis)
ㆍ복막은 복부 내부를 감싸고 복부 장기를 덮는 얇은 조직이다.
ㆍ복막염(Peritonitis)이란 복막의 국소적 혹은 전반적인 염증의 결과이다.
1. 복막염의 병인과 병태생리
1) 일차적인 원인 : 혈액으로 운반되는 유기체가 복강내로 들어갔을 때 발생
ㆍ혈액으로 운반된 미생물
ㆍ생식기계 미생물
ㆍ간경변으로 인한 복수로 발생(박테리아가 번성하는데 좋은 환경)
2) 이차적인 원인 : 장내용물이나 박테리아가 정상적으로 균이 없는 깨끗한 복막을 자극함.
ㆍ충수염의 파열, 심한 담낭염
ㆍ복부 장기의 둔상이나 관통상(칼로인한 손상이나 권총)
ㆍ게실염의 파열
ㆍ허혈성 장질환
ㆍ위장관계의 폐색
ㆍ췌장염
ㆍ소화성 궤양천공
ㆍ복막투석
ㆍ수술 후 (문합된 부우의 손상)
2. 증상
ㆍ반동압통, 근육강직, 경련
ㆍ움직이면 통증이 악화되고 복부팽만, 복수, 열, 빈맥, 빈호흡, 오심, 구토가 나타난다.
ㆍ복막염이 합병증은 저혈량성 쇼크, 패혈증, 복강 내 농양 형성, 마비성 장폐색, 급성 호흡곤란증후군이 있다.
3. 진단검사
1) 백혈구 수치 확인
2) 복막 흡인 - 복막의 혈액, 담즙, 농, 세균, 곰팡에, 아밀라아제가 포함되어있는지 분석한다.
3) 복부 X-Ray : 공기가 차있는 것과 마비성 장페쇄로 인해 장이 확대되어 있거나 공기가 체액이 차있는 모습이 관찰된다.
4) 초음파, CT : 복수와 농양을 확인 할 수 있다.
5) 복강경검사 : 복수가 없경우 시행된다.
6) 복부에 압통이 있는지, 단단한지 부드러운지 시진한다.
4. 치료
ㆍ원인을 찾아내고, 화농성 액체를 배액하고, 상처 복구를 위해 수술을 한다.
ㆍ검사 후, 복막염이 심하지 않는 경우 항생제, 비위관 삽입, 진통제, 정맥수액을 공급한다.
5. 복막염 간호
ㆍ복막염이 있는 환자는 통증이 매우 심하다.
ㆍ복강내로 소실된 체액을 보충하고 항생제 치료를 시행한다.
ㆍ환자는 안위감 도모를 위해 무릎을 구부린 자세를 취한다.
ㆍI/O를 확인하고, 전해질 상태를 측정한다. 활력징후를 자주 측정한다.
ㆍ 복막염 수술 간호
수술 전 간호 | 수술 후 간호 |
ㆍ금식(NPO) ㆍ정맥 수액 보충 ㆍ항생제 요법 ㆍ비위관 흡입 ㆍ진통제 투여 |
ㆍ금식 ㆍ반좌위 ㆍ전해질을 보충하기위한 수액 ㆍ항생제 요법 ㆍ진정제 투여 |
6. 복막염 예방
복막투석시 복막염이 발생할 위험성이 높다.
1. 카테터를 만지기 전 손 위생을 실시한다.
2. 매일 소독제로 카테터 주변 부위를 청결하게 유지해준다.
복막염을 한번 앓았던 환자의 경우 재발할 위험이 있으므로 병원에 방문하여 혈액검사를 통해 염증 수치를 확인 하도록 한다.
'다양한 성인병에 관한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암(Stomach cancer)에 대해 알아보아요! /치료/간호/증상/간호진단/진단검사/합병증/치료방법/위암 수술/위암 방사선/예후/생존율/최근 연구 (0) | 2023.10.08 |
---|---|
충수염(appendicitis)/맹장염/맹장염 증상/증상/맥버니/간호/치료/진단검사 (0) | 2023.10.08 |
크론병이란 무엇일까요? 궤양성 대장염,크론병 차이/원인/치료/간호/진단검사/합병증 (0) | 2023.10.07 |
장폐색(Intestinal obstruction)이란 무엇일까요?/간호/진단방법/검사/수술/치료 (0) | 2023.10.07 |
결장직장암(Colorectal cancer)이란 어떤 질환 일까요?/치료/간호/진단/수술/예후/간호진단/합병증까지! (0) | 2023.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