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폐색(Intestinal obstruction)
1. 개요
ㆍ장폐색이란 위장관을 통해 장 내용물이 지나갈 수 없는 상태이다.
ㆍ폐색은 주로 소장이나 결장에서 나타나며, 부분적이거나 완전하게 페색될 수 있다.
2. 장폐색의 유형
1) 기계적
ㆍ기계적 폐색은 장 내관에서 발견할 수 있는 폐색이다.
ㆍ대부분의 장폐색은 소장에서 발생하며 보통 원인은 수술 후에 나타나는 협착이다.
ㆍ두번째 큰 원인으로는 탈장과 종양이며 암종은 염전과 게실을 야기하는 대장폐색에서 흔한 원인이다.
2) 비기계적
ㆍ비기계적 폐색은 신경근육계나 혈관질환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다.
ㆍ가장 흔한 원인은 마비성 장폐색인데, 복부 수술 후 일어날 수 있으며 다른 원인으로는 복막염, 급성 췌장염, 급성 충수돌기염, 전해질 불균형, 흉추나 요추의 골절이 있다.
ㆍ가성폐색은 방사선에 의한 폐색의 증거없이 기계적인 장폐색이 일어나는 것이다.
ㆍ혈관폐색은 드물게 나타나며 장의 일부에 혈액 공급이 되지 않아 일어난다. 가장 흔한 원인은 장간막 동맥에서 발생하는 색전과 죽상경화증이다. 복강동맥과 상하부 장간막동맥이 장에 혈액을 공급한다.
3. 병인과 병태생리
ㆍ보통 매일 6~8L 정도의 체액이 소장으로 들어간다. 대부분의 체액은 결장에 도착하기 전에 흡수되는데, 정상적으로는 위산의 분비와 유미즙의 빠른 이동으로 소장에서 세균이 성장하는 것을 억제하나, 소장이 폐색 되었을 때에는 체액이 정체되어 세균이 증식하게 된다. 체액, 가스 장 내용물 또한 폐색부위에 증식한다.
ㆍ원위부 장이 허탈되고 팽창되면 체액 흡수는 감소되고 장 분비가 자극된다. 박테리아가 폐색 부위의 근위부에서 성장하고 장에서도 부가적인 체액 분비를 자극한다. 근위부 장은 계속적으로 팽창되면서 관내 장의 압력이 올라가게 된다. 증가된 압력은 모세혈관의 삼투압을 증가시키고 복강안으로 체액과 전해물이 삼출되게 된다. 장과 복강에 체액 정체가 발생하면 심각한 순환 혈량이 감소되고, 저혈압과 저용량성 쇼크로 이어지게 된다. (체액흡수 감소, 체액 정체, 모세혈관 삼투압 증가로 인한 삼출로 인해 발생)
ㆍ만약 폐색이 소장에 있다면 탈수가 발생할 수 있다. 탈수와 전해질 불균형은 대장 폐색 초기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ㆍ수술 협착과 관련된 폐색은 수술 없이 해결될 수도 있다. 염전 폐색은 생존을 위해 응급 수술이 요구되기도 한다. 장의 단순한 폐색은 어떤 한 지점에서 관이 막히는것을 의미한다. 즉각적 치료가 이루어 지지 않으면 염전과 괴저가 발생하기 쉽다.
4. 임상 증상
ㆍ폐색 부위에 따라 다르며 오심, 구토, 복부통증, 팽만, 가스배출이 안되고 변비가 나타난다.
1) 소장의 윗부분이 폐색된 경우 오심과 담즙이 섞인 분출성 구토가 급격하게 발생한다.
2) 소장 원위부 폐색시 구토는 점진적이다. 구토물은 오렌지 및 갈색이며 세균의 과성장으로 대변같은 냄새가 나타난다.
ㆍ구토는 장의 상복부 폐색으로 인한 통증을 완화 시킨다. 보통 지속적인 급성 산통과 통증은 하부 장폐색에서 나타난다.
ㆍ기계적 폐색의특징은 순환적인 파동이 있는 통증이고 마비성 장폐색은 일반적인 불편함이 지속적으로 나타난다.
(소장과 대장 폐색에서 발생하는 증상 차이)
임상증상 | 소장 | 대장 |
발병 구토 통증 장운동 복부팽만 |
빠름 잦으면서 다량으로 분출 산통,경련성, 간헐적 단기간 배변 매우 증가 |
잠행성 드물게 나타남 저강도, 경련성 복통 변비 증가 |
5. 진단검사
ㆍ복부 X RAY : 장의 가스와 체액의 존재를 보여준다. 복부에 공기가 차있는것은 천공을 의미한다.
ㆍ바륨관장 : 대장의 장폐색 위치를 확인하는데 도움이 된다.
ㆍS상결장 내시경, 대장내시경 : 장폐색을 직접 확인 할 수 있다.
ㆍCT
ㆍ전혈구검사, 혈청 전해질, 아밀라아제, BUN검사 : WBC상승은 염전이나 천공을 의미하고 Hb,Hct감소는 신생물이나 괴사로 인해 염저네 출혈이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혈청 전해질은 환자의 체액과 전해질 균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기 때문에 자주 관찰해야 한다.
ㆍ대변 잠혈검사
6. 치료
ㆍ장이 염전 되었을 경우에만 수술이 필요하나 보통 보존적 치료를 통해 해결된다.
ㆍ환자를 금식시키고 비위관을 삽입한다.
ㆍ신장 검사 후 칼륨을 함유한 생리식염수나 유산을 첨가한 링거액으로 체액을 유지하고 진통제를 투여하여 통증을 조절한다.
ㆍ상태가 24시간 내로 호전 되지 않는 경우 수술이 시행된다. 수술 방법은 장 폐색 부위를 절제하고 남아있는 건강한 장끼리 문합하는 방법이다. 많은 부분이 폐색되거나 괴사 되었을 경우 전체 결장 절제술, 결장루 또는 회장루가 필요할수 있다.
7. 간호
ㆍ장음을 청진하고 특징과 위치를 기록한다. 복부를 시진하여 흉터, 덩어리, 팽만을 관찰한다.
ㆍ수분과 전해질을 교정한다. 상부 장폐색 환자는 대사성 알칼리증 가능성이 높으며 하부 장폐색 환자는 대사성 산증의 가능성이 높다.
ㆍ불안과 통증을 경감시키기 위해 안위감을 제공한다.
ㆍI/O를 정확하게 측정한다. (탈수 관찰)
ㆍ신부전의 위험이 있으므로 Cr, BUN수치를 확인하여야 한다.
8. 비위관 간호
ㆍ 구토는 환자의 입에 역겨운 맛을 남기고 대변 냄새가 나게 할 수 있다.
ㆍ 비위관 삽입시 환자는 입으로 호흡하고 구강과 입술이 건조해 지므로 자주 양치질을 하도록하고, 윤활제를 입술에 바르도록 한다.
ㆍ코에 비위관으로 인한 자극증상이 있는지 확인하고 비위관이 적절히 유지되는지 확인한다.
'다양한 성인병에 관한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막염(Peritonitis)이란 무엇일까요?/간호/치료/증상/진단검사 (0) | 2023.10.07 |
---|---|
크론병이란 무엇일까요? 궤양성 대장염,크론병 차이/원인/치료/간호/진단검사/합병증 (0) | 2023.10.07 |
결장직장암(Colorectal cancer)이란 어떤 질환 일까요?/치료/간호/진단/수술/예후/간호진단/합병증까지! (0) | 2023.10.06 |
게실증/게실염(Diverticulosis/Diverticulitis)/진단검사/간호/합병증/예후/식이섬유/비만 (0) | 2023.10.06 |
항문 질환에 대해 알아보자! 치질(hemorrhoids)/항문 열창(Anal fissure)/항문직장 농양/항문누공/간호/진단검사/치료/수술/약물 (0) | 2023.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