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다양한 성인병에 관한 지식

게실증/게실염(Diverticulosis/Diverticulitis)/진단검사/간호/합병증/예후/식이섬유/비만

by 꾸던과건강 2023. 10. 6.

 

게실증/게실염(Diverticulosis/Diverticulitis)

 

게실의 모습. 장관내 압력으로 인해 내벽이 울룩불룩 튀어나온 모습이다.

 

1. 개요

게실이란? 장벽의 원형의 평활근에서 빠져나온 점막의 외낭 혹은 주머니 모양으로 확장된 상태를 말한다. 위치는 위장의 어느곳에서 발생할수 있으나 주로 S상 결장에서 발견된다.

ㆍ게실과 관련된 질환은 증상과 합병증 없이 나타나는 게실증 부터 천공, 농양, 누공, 출혈등의 합병증을 동반하는 게실염까지 다양하다.

ㆍ게실염은 보통 대변에 의한 폐색으로 발생되며 게실천공으로 이어질 위험성이 있다.

 

 

2. 장 게실 원인

ㆍS상결장 게실염의 경우 식이섬유 섭취의 부족으로 관 내강의 압력이 높아져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보통 저섬유식과 정제 탄수화물을 섭취하는 산업화된 서구인에게서 많이 발생하며, 비만과 관련이 있다.

 

ㆍ결장의 평활근벽이 두꺼워지고 저섬유식이로 장 내용물의 운반 시간이 느려지게 된다. 이는 수분을 대변으로 부터 흡수되어 관내강 통과가 더욱 어려워지게 되면서 압력이 높아져 게실이 형성되게 된다.

 

ㆍ만약 게실형성 후에도 대변이 정체되고 게실내에 세균이 발생되면 게실염이 발생한다. 게실의 염증은 장관 전벽에 퍼지며 조직 부종의 원인이 된다. 무증상 게실질환은 일상적인 S상결장경 및 결장경을 통해 진단된다.

 

 

3. 임상증상

대부분 무증상이다.

ㆍ특징이 있다면 복통과 배변습관에 변화가 생기는 것이다.

ㆍ게실증 환자의 15%정도는 급성 게실염으로 인한 복통으로 발견된다.

ㆍS상결장 게실염의 좌하복부에 통증이 나타나고, 발열, 백혈구 증가와 때때로 복부에 덩어리가 촉진되기도 한다.

 

ㆍ게실염의 합병증은 복막염을 동반한 천공과 누공, 장폐색과 요로폐쇄, 출혈이다. 출혈은 광범위하게 나타나며 저절로 멈추기도 한다. 게실염은 하부 위장관계 출혈의 일반적 원인이다.

 

 

4. 진단검사

ㆍ과거력과 신체검진

ㆍ대변 잠혈검사

ㆍ바륨 관장 : 결장관강의 협착과 폐색을 진단하는데 사용된다. 

ㆍS상 결장경검사 : 용종이나 병변의 진단에 사용된다. (단, 급성 게실염 환자는 천공과 복막염의 위험이 있으므로 금한다.)

ㆍCBC

ㆍ소변검사

ㆍCT : 확진에 사용되며, 병의 심각도를 평가할 수 있다.

 

 

5. 치료, 간호

1) 식이

ㆍ고섬유식 섭취 : 과일, 채소등

ㆍ저지방식 섭취 : 지방, 육류의 섭취를 줄인다.

 

2) 활동

ㆍ비만인 경우 체중감소를 하도록한다. (복강내압 상승은 게실증을 촉진 시킨다.)

ㆍ복압이 상승하는 활동(대변시 힘주기, 구토, 구부림, 무거운것 들기, 꽉 끼는옷)은 발병을 촉진시킨다.

 

3) 보존적 치료

ㆍ고-잔여식

ㆍ식이섬유 보충제 섭취

ㆍ변연화제(복압상승 예방),변 완화제

 

4) 게실염 급성기 간호

ㆍ침상안정

ㆍ항생제 투여

ㆍ금식(NPO)

ㆍ수액치료

ㆍ급성 증상 완화 후 천천히 반유동식부터 시작한다.

 

 

 

 

보통 게실증은 보편적이나 합병증은 드물게 나타 난다고 하네요.

장의 안정과 항생제 치료가 일반적으로 우선 시행되며 내과적으로 관리가 어려울 때만 수술이 이루어진다고 합니다.

(농양이나 폐색이 동반된 경우)

 

게실염을 예방하기 위해선 체중을 관리하고 건강한 식습관! 특히 식이섬유가 풍부한 음식을 먹는것이 좋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