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다양한 성인병에 관한 지식

황달에 대해 알아보아요!(Jaundice)/황달 간호/황달 원인/황달 합병증/황달 진단검사/황달 피검사 수치/복수/간염

by 꾸던과건강 2023. 10. 3.

 

 

황달 (Jaundice)

 

 

 

 

 

 

1. 황달이란?

 피부와 공막의 신체 조직이 노랗게 변하는 증상이다. 비정상적인 빌리루빈 대사에 이상이 생기거나, 담즙이 간 또는 담도계로 유입되어서 발생힌다.

ㆍ  빌리루빈 수치는 정상치의 3배정도로 높게 측정 된다.

 

 

2. 빌리루빈의 사이클

결합빌리루빈, 비결합 빌리루빈의 정상 사이클

1) 체내 빌리루빈은 대부분 대식세포에 의해서 혈색소(적혈구)가 파괴되어 형성된다.

2) 비결합빌리루빈(간접빌리루빈)의 경우 알부민과 결합한 형태로 순환하게 된다. (간접 빌리루빈은 비수용성이므로 신장에서 걸러지지 않아 소변으로 배출되지 않는다.)

3) 이 비결합빌리루빈이 수용성인 결합빌리루빈(직접빌리루빈)을 형성하기 위해 간에서 글루쿠론산과 결합한다.

4) 이렇게 만들어진 결합 빌리루빈은 담즙으로 배출되어 간담도게를 거쳐 소장으로 유입된다.

5) 대장의 장내균 활동으로 빌리루빈은 스터코빌리노겐과 유로빌리노겐으로 전환된다.

6) 스터코빌리노겐은 대변에 특징적인 밤색으로 관찰되며, 약간의 유로빌리노겐은 간문맥 순환에서 재흡수되고 간으로 돌아온다.

 

 

 

3. 황달의 원인

황달의 원인은 그게 세가지로 나눈다.

1) 용혈성 황달

ㆍ혈액내 비결합형 빌리루빈(간접 빌리루빈)의 양을 증가시키는 적혈구 파괴 증가로 발생한다. 체내 비결합형 빌리루빈이 증가하면 점막 조직으로 침착이 되어 황달이 발생한다. (간은 이런 비결합형 빌리루빈을 처리 할 수 없다.)

ㆍ원인은 수혈 부작용, 겸상적혈구 위기, 용형설 빈혈, 지중해성 빈혈, 용혈성 요독 증후군등이 있다.

 

2) 간세포성 황달

간의 빌리루빈 흡수, 결합, 배출능력의 변화로 나타난다.

ㆍ간 세포 손상시 초반에는 간에서 빌리루빈이 새어나와 결합형 빌리루빈(간접 빌리루빈)의 수치가 혈내 증가하게 된다. 시간이 지나 중증으로 이어지면 지속적인 간대사 저하로 인해 비결합빌리루빈이 결합 빌리루빈으로 합성되지 못하여 비결합 빌리루빈 또한 증가하게 된다.  최종적으로 간세포 능력 저하로 합성을 못해 결합 빌리루빈은 감소되고 비결합 빌리루빈은 증가하게 된다.

ㆍ원인은 급성 간염, 만성간염, 간독성, 간경화, 알콜성 간질환, 간암등이 있다.

 

3) 폐쇄성 황달

간 또는 담도계를 통한 담즙의 흐름이 감소하거나 폐쇄되어 발생한다.

간내 폐쇄는 간의 세관과 담도의 섬유화 , 부종으로 발생한다. 간외 폐쇄의 경우 담석, 담도 협착, 경화성 담관염, 췌장두부암으로 인한 총담관 폐쇄를 포함한다.

ㆍ원인은 담도 협착, 담관, 담석, 급성, 만성 췌장염, 췌장암등이 있다.

 

 

 

4. 진단

(표로 정리 해보았습니다.)

  용혈성 황달 간세포성 황달 폐쇄성 황달
혈청빌리루빈  
비결합형(직접) 증가 증가 약간 증가
결합형(간접) 정상 증가되었다가 감소 약간 증가
소변빌리루빈 음성 증가 증가
유로빌리노겐  
대변 증가 정상이거나 감소 감소
소변 증가 정상이거나 증가 감소

 

 

5. 증상

소변이 짙은 색으로 변화하며, 이후 피부에 빌리루빈이 침착하면 흰자위(공막)의 색이 노랗게 변화한다.

ㆍ담즙으로 배출 되어야 할 화학물질이 피부 신경말단은 자극하여 가려움증이 발생하기도 한다.

ㆍ 때때로 복부 통증이 나타난다.

ㆍ구역, 구토를 한다.

ㆍ체중 감소가 일어난다.

 

 

6. 치료

ㆍ황달은 질환이 아닌 증상으로, 어떠한 원인으로 인해 황달이 나타났는지 확인하는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