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염(Hepatitis)
1. 개요
ㆍ간염은 간의 염증성 질환이다.
ㆍ바이러스성 간염이 가장 흔하며 A, B, C, D, E로 구분된다.
ㆍ바이러스성 감염 외에 알코올을 포함한 약물이나 화학약품, 자가면역 질환에 의해 발생하기도 한다.
ㆍ박테리아성 간염의 원인균에는 streptococci, salmonellae, E-coli등이 있다.
2. 원인, 병인
ㆍ바이러스성 간염의 주 원인은 A,B,C,D,E가 있으며, 그 외의균에는, 콕사키,루벨라, 헤르페스등이 있다.
1) A형간염(hepatitis A virus, HAV)
ㆍ대변-구강 경로를 통해 전파되는 RNA 바이러스이며 음식이나 식수의 대변 오염에 의해 발생한다.
ㆍ불량한 개인위생, 부적당한 음식 처리, 혼잡한 장소, 청결치 못한 위생상태에서 발생하며 비경구적 감염은 작다.
ㆍHAV는 만성 보균상태가 없다. 바이러스는 잠복기동안 배설물에 존재하므로 무증상 감염인에 의해 전파된다.
2) B형간염(hepatitis B virus, HBV)
ㆍHBV에 감염된 산모에 의해 태아에게 전파되거나, 경피적 노출, 감염된 혈액이나 체액등에 노출되어 수평 전파되는 DNA바이러스이다.
ㆍB형간염은 또한 성적으로 전파되는 질환이다.
ㆍHBV는 서로 다른 세가지 항원을 가진 복합 구성체로 표면항원(HBsAg), 핵항원(HBcAg), e항원(HBeAg)이 있다. 감염 후 혈청 내 6-12개월 존재하는 표면항원은 B형간염의 보균 상태를 의미한다. B형간염 표면항체(HBsAB)의 존재는 B형간염 백신 접종이나 과거 HBV를 한번 앓고가 면역이 생긴것을 의미한다. (아래 표로 정리해 놓았습니다.)
ㆍHBsAg 수치는 만성 보균자에서 검출된다. 만성 감염의 경우 간효소 수치는 정상이거나 상승한다.
3) C형간염(hepatitis C, HCV)
ㆍ일차적으로는 경피적으로 전파되는 RNA바이러스이다.
ㆍ미국, 캐나다 내에서는 정맥주사로 마약을 사용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오염된 바늘과 장비를 공유해 발생하는것이 흔하다. 또, 고위험 성행동으로 기인한 사례가 증가 하였다.
4) D형간염(hepatitis D, HDV)
ㆍ델타 바이러스라고 불리는 D형간염 바이러스는 혼자서 생존이 불가능한 RNA 바이러스이다.
ㆍ경피적으로 전파된다.
ㆍD형간염은 HBV와 동시에 발생하거나, 혹은 HBV가 감염된 후 나중에 HDV에 감염된다.
ㆍ단독으로 HBV에 감염된 환자보다 위험성이 높다.
5) E형간염(hepatitis E, HEV)
ㆍ대변-구강 경로를 통해 전파되는 RNA바이러스이다.
ㆍ가장 흔한 전파 방법은 오염된 물을 마시는 것이다.
ㆍ주로 개발도상국에서 발생한다.
6) G형 간염(hepatitis G, HGV)
ㆍ특성이 잘 알려지지 않았으며, 비경구적이고 성적으로 전파되는 RNA 바이러스이다.
ㆍ혈액 기증자에서 발견되며 수혈로 전파될 수 있다.
(아래 표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잠복기간 | 전파경로 | 감염원과 파급력 | 전염력 | |
A형 간염 바이러스 | 15~50일 (평균 28일) | ㆍ대변-구강 | ㆍ혼잡한 장소의 불량한 개인위생, 비위생, 오염된 음식, 우유, 물, 조개, 감염된 조리사, 성접촉 | ㆍ증상 잘생 2주가 가장 전염력이 높음 |
B형간염 바이러스 | 45~180일 (평균 56~96일) | ㆍ혈액이나 혈액제제에 경피적으로 노출 ㆍ성접촉 ㆍ출생 전후기 전파 |
ㆍ오염된 바늘, 주사기, 혈액제제, 감염된 파트너의 성적 활동, 무증상 보균자 접촉 ㆍ오염된 바늘로 문신, 피어싱 |
ㆍ증상 발생 전후, 4~6개월 동안 전염력이 있으며 보균자는 평생 전염력이 있음 |
C형간염 바이러스 | 14~180일 (평균 56일) | ㆍ혈액이나 혈액제제에 경피적 노출 ㆍ고위험 성 접촉 ㆍ출생 전후기 접촉 |
ㆍ혈액제제, 오염된 바늘, 감염된 파트너와의 성행위 | ㆍ증상 발생 전 1~2주 임상과정 내내 지속 |
D형간염 바이러스 | 2~26주, HBV가 선행되고 HBV 보균자인경우 주의 | ㆍHBV가 존재할 경우 ㆍ전파경로는 HBV와 같음 |
ㆍ오염된 바늘, 주사기, 혈액제제, 감염된 파트너의 성적 활동, 무증상 보균자 접촉 ㆍ오염된 바늘로 문신, 피어싱 |
ㆍ모든 단계에서 감염력이 있음 |
E형간염 바이러스 | 15~64일 (평균 26~42일) | ㆍ대변-구강 ㆍ개발도상국의 오염된 식수 공급 |
ㆍ오염된 물, 불결한 위생, 아시아, 아프리카, 멕시코에서 발견 | ㆍHAV와 비슷함. |
3. 간염 병태생리
1) 간
ㆍ급성 감염 기간에는 감염된 간세포를 용해시키는 세포독성의 시토카인과 자연살해세포에 의해 간이 손상된다.
ㆍ간 손상은 간세포 괴사로 인해 생긴다.
ㆍKupffeer 세포의 확대와 증식이 일어나며 간 문맥 주위의 염증은 담즙의 흐름을 방해하여 담즙 정체가 동반된다.
2) 전신적 영향
ㆍ면역 복합체를 형성하여 전신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ㆍ두드러기, 혈관부종, 관절염, 발열, 권태감등이 나타난다.
4. 임상 증상
ㆍ간염은 대부분의 환자의 경우 증상이 없다.
ㆍ잠복기 증상은 권태감, 식욕부진, 피로, 오심, 구토, 우측 상복부 불편감
ㆍ황달은 있을수 있고 없을 수도 있다. 소변 색이 어둡게 변하며, 담관 폐쇄나 염증으로 담즙 정체가 일어나는 경우 소양증이 동반될 수 있다.
ㆍ위장 증상과 약간의 피로가 지속되고 간은 비대해지며 압통이 발생한다.
ㆍ평균 2~4개월정도 권태감과 피로감이 지속된다.
ㆍ거의 모든 A형 간염은 회복되며, HBV와 HCV의 경우 만성 바이러스성 간염을 초래한다.
간염의 임상증상 | |
급성 | 식욕부진, 오심,구토 우상복부 불편감 변비, 설사 미각, 후각의 감소 권태감과 두통, 열, 관절통 두드러기, 간 비대, 비장 비대 체중감소, 황달 혹은 비황달 소양증 진한색 소변 |
만성 | 권태감 잦은 피로감 간 비대 |
(증상을 표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5. 합병증
1) 급성 간염의 경우 대부분 합병증 없이 완전히 해복된다. 그러나 노인이나 기저질환이 있는 환자의 경우에만 사망율이 높으며 전격 간부전, 만성간염으로 이어지거나, 간경화증, 간세포암을 포함한 합병증이 발생한다.
2) HAV 감염은 전격 간부전을 일으킬 수 있으나 만성 간염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3) HBV 또한 전격 간부전을 유발하며 일부 환자의 경우 섬유화가 경화증으로 진행한다.
4) HCV 감염은 만성이 될 위험이 크다(약 75~85%가 만성 간염으로 전행됨) 이 중 20%정도가 경화증으로 발전된다. 또 이 간경화 증은 간세포암으로 진행될 위험이 있다.
+ 전격성 간부전이란 급성 간 손상의 증상이 발현한 이후 26주 이내에 혈액 응고 장애와 함께 간성 뇌증이 발생한 것으로 , 3주 이내 사망률이 80% 정도에 이를 정도로 매우 급격하고 치명적인 질병이다.
6. 진단검사
(HBsAg,HBsAb 헷갈려서 정리)
HBsAg | HBsAb | HBcAb | HBeAg | HBeAb | 해석 |
양성 | 음성 | IgM | 양성 | 음성 | 급성 간염 |
양성 | 음성 | IgG | 양성 | 음성 | 만성 간염 |
양성 | 음성 | IgG | 음성 | 양성 | ㆍ전염력이 낮은 급성/만성간염 ㆍprecore mutant B형간염 |
양성 | 양성 | 양성 | 양성or 음성 | 양성 or 음성 | ㆍheterotypic HBsAb를 갖는 HBsAg의 one subtype ㆍSeroconversion상태 |
음성 | 음성 | IgM | 음성 | 양성 or 음성 | ㆍ급성 간염 또는 만성 감염의 재활성화 시기 |
음성 | 음성 | IgG | 음성 | 양성 or - | ㆍB형 간염 보균자 ㆍ옛날에 HBV감염 |
음성 | 양성 | IgG | 음성 | 양성or - | ㆍB형 감염 후 회복 |
음성 | 양성 | 음성 | 음성 | 음성 | ㆍ백신접종 ㆍ옛날에 HBV감염 ㆍHBsAb 위양성 |
ㆍ신체 사정상 간 압통, 간 비대, 비장 비대가 나타날 수 있다.
ㆍ간 세포 생검 : 조직 검사와 염증, 섬유화, 경화증 단계를 평가 할 수 있다.
7. 치료
1) 급성, 만성
ㆍ고칼로리, 고단백질, 고탄수, 저지방식이를 하도록한다.
ㆍ비타민을 보충하도록한다. 특히 비타민B군과 비타민K를 사용한다.
ㆍ알코올, 간 해독 약물을 피한다.
2) 만성 B형간염 (약물)
ㆍPegylated a-interferon : 항바이러스제로, 바이러스 복제 주기에 영향을 준다.
ㆍIamivudine : DNA 합성을 막아 HBV복제를 억제한다.
ㆍadefovir : 위 약물에 내성이 있는 경우 간손상을 줄이고 간효소를 감소시킨다.
ㆍentecavir : 바이러스 부하 감소, 간 손상 제한, 간효소 낮춘다.
3) 만성 C형간염 (약물)
ㆍPegylated a-interferon
ㆍribavirin
8. 예방
1) A형 간염
ㆍ A형간염 백신, 면역글로불린 모두 A형 간염의 예방에 사용된다.
ㆍ손을 씻고, 적절한 위생 관리를 해야한다. 음식을 취급하는 사람의 철저한 보균 검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2) B형간염
ㆍHBV 백신 접종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ㆍ성관계시 콘돔을 사용하도록 하고 상대에게 B형간염 백신을 맞도록 해야한다.
ㆍ손을 씻고, 칫솔과 면도기를 공유하지 안흔다
ㆍ노출 후에는 백신과 B형간염 면역 글로불린을 사용한다.
3) C형간염
ㆍ백신은 없다. 만약 노출이 된 경우 A-inerferon과 같은 항바이러스제나 ig를 사용하는 것은 권장하지 않는다.
ㆍ그러므로 위험집단을 밝혀내고 위험을 줄여야한다. 주로 성관계 파트너가 다수 이거나 오염된 주사기로 마약을 하는 사람이 위험집단일 가능성이 높다. (주로 HIV감염과 공존한다.)
ㆍ혈액과 접촉 할때에는 장갑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9. 간호
1) 급성기 간호
ㆍ황달을 사정해야한다. : 짙은 소변, 소양증, 두통, 관절통, 피부 시진
ㆍ식욕부진과 음식에 대한 혐오감이 발생하므로 선호하는 음식을 제공해야 한다. 이 때 구강 간호, 진토제등 식욕을 증진시키는 대책을 시행해주어야 한다.
ㆍ적절한 영양은 간세포의 재생을 돕는데 중요하다.
ㆍ환자가 충분한 휴식을 취하도록 해주어야 한다.
2) 의료진 감염 : A형 간염의 경우 쉽게 의료인에게 전파 되지 않는다. 환자의 대변실금 시 전파될 가능성이있다. 또 B형 간염의 경우 바늘에 찔리거나 오염된 혈액이 점막이나 피부에 접촉 되는경우 HBV에 노출될 수 있다. C형간염의 경우 주삿바늘, 혈액에 노출되어 감염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