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신우신염(Acute pyelonephritis)
1. 신우신염이란?
신우신염은 하부 요도 감염으로 인해 방광에서부터 신장까지 전염된 상부 요로감염을 말합니다. 소변의 역류 등으로 올라온 세균들은 신 수질(medulla)에서 시작하여 인접한 피질(cortex)로 전이 됩니다.
2. 신우신염 원인
보통 하부 요로계의 감염으로 인해 상행 성 경로를 통해 역류하며 장내 세균에 의해 감염됩니다.
하부 소변이 상부로 역류하거나 양성 전립선 비대증(BPH)으로 인한 요로폐색, 요도협착, 요로결석 등에 따른 하부 요로계 기능 장애로부터 나타나게 됩니다. 만약 폐색성 기형이 있는 경우에는 신장에 반흔이 생기며 기능 저하가 나타나는데 이를 만성 신우신염이라고 합니다.
+ 장기 요양시설(요양병원)에서 유치 도뇨(F-Cath)를 제대로 관리하지 않거나 장기간 사용할 경우 발병할 확률이 높습니다.
주요 원인균
1. 대장균(E-coli)
2. 그람음성 박테리아(Proteus, Klebsiella) : 패혈성 쇼크의 원인균
3. 그람양성 박테리아(Enterobacter)
4. 그 외 곰팡이, 원충, 바이러스 등
3. 합병증
신우신염에서 가장 무서운 합병증은 패혈성 쇼크가 동반되는 요로성 패혈증(urosepsis)으로 신우신염 환자의 약 10~25%에서 나타나며 요로성 패혈증 환자의 약 15% 정도가 사망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4. 신우신염 증상
가벼운 피로감에서부터 갑작스러운 오한, 발열, 옆구리 통증과 함께 배뇨곤란, 긴박뇨, 빈뇨 등 하부 요로감염 증상이 동반되며 구토와 설사가 동반되기도 합니다. 신체검사 상에서 늑골척추각(costovertebral angle tenderness, CVA) 압통이 나타납니다. 늑골 척추 각이란 가장 아래 갈비뼈와 척추가 만나는 부위를 말하며 살짝만 만져도 심한 통증을 호소합니다. 또한 요로감염 환자보다 증상이 심각하며 치료 여부에 상관없이 시간이 지나면 증상은 사라지나 세균뇨, 농뇨는 지속됩니다.
5. 진단 검사
요검사(urinalysis) : 세균뇨(bacteriuria), 농뇨(pyuria), 혈뇨(hematuria) 및 단백뇨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신 실질의 침범을 나타내는 백혈구 원주(WBC cast)가 소변 속에서 발견되기도 합니다.
혈액검사(CBC) : 혈액 검사상 백혈구 증가가 나타나며 미성숙한 중성구가 증가합니다.
초음파 : 수신증, 신 농양, 결석 등과 같은 해부학적 이상을 확인하기 위해 시행합니다.
영상 검사 : 신 기능장애, 반흔, 만성 신우신염, 농양과 같은 신우신염의 합병증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6. 치료
1. 경증(합병증이 없는 감염)
경증의 환자인 경우 외래 치료나 짧은 입원으로 항생제 치료를 14~ 21일 정도 받게 됩니다. 초기에는 비경구 항생제(iv)를 사용하여 급속하게 혈청 및 소변에서의 약물 수준을 유지합니다. 초기 항생제 치료로 급성 증상이 48~72시간 내로 조절되면 경구로 적절한 수분 섭취 및 구강 항생제를 복용하도록 합니다.
- aminoglycoside(tobramycin, gentamycin)에 광범위 항생제(반코마이신,ampicillin) 병용 투여
- 소변과 혈액 배양검사를 결과에 근거한 항생제 투여
- Fluoroquiolones계열 항생제 투여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SAIDs)
2. 요로성 패혈증으로 증상이 심각한 경우
입원 후 항생제 치료를 하도록 합니다. 심각한 경우에는 항생제를 6주 이상 사용할 수 있습니다.
- 페니실린계 항생제, 젠타마이신, 시프로플록사신을 투여합니다.
- 적절한 수분 섭취(초기에는 비경구로 NS 투여 오심, 구토, 탈수 증상이 완화된 후에는 경구적으로 섭취하게 함)
- 발열과 불편감을 줄이기 위해 해열제나 NSAIDs제를 투여합니다.
- 그 후 혈액 배양검사(Blood culture)를 확인하여 치료의 효과를 평가합니다.
7. 간호
1. 처방된 항생제를 지속해서 투여하도록 교육합니다.
2. 적절한 관리와 치료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추후 소변 배양 검사의 필요성을 교육합니다.
3. 재발이나 악화, 요로성 패혈증에 관한 내용을 교육합니다.
4. 하루 8잔 정도의 수분 섭취하도록 합니다.
5. 휴식을 통해 환자의 안위를 증가하도록 합니다.
8. 신우신염 예후
반복적으로 신우신염이 재발되거나 적절히 치료되지 않는 경우에는 만성 신우신염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9. 만성신우신염(Chronic pyelonephritis)
만성 신우신염은 신장이 작아지고 위축되며 반흔이나 섬유화로 인해 기능을 상실하는 것을 말합니다. 보통 상부 요로계를 침범하는 감염이 재발하는 경우에 발생하나 최근에는 감염된 과거력 없이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만성 신우신염은 임상증상보다는 방사선 영상 검사와 병력으로 진단되며 영상 검사상에서 신장은 얇은 신질을 가지며 작고 수축되어 있습니다. 집합 체계는 작아졌거나 수신증일 수 있습니다. 병리 검사상 네프론이 얇아지며 염증세포가 신 실질을 침범하고 있고 섬유화가 된 것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10. 신우신염 예방
여성의 경우 임신으로 요로계의 생리학적 변화가 나타나므로 요로감염을 무엇보다 조심해야 합니다.
적절한 수분 섭취를 통해 방광 속에 있는 세균을 배출하도록 하고 소변을 오래 참는 습관을 갖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또 한 신우신염의 주된 원인균은 장내 세균으로, 항문을 닦을 때 앞에서 뒤로 닦도록 합니다.
'다양한 성인병에 관한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뼈가 사라지는 무서운 질환 골다공증(Osteoporosis) 증상, 예방, 간호 (0) | 2023.09.13 |
---|---|
관절염, 통증 관리, 치료, 원인, 증상, 의학용어 OA (0) | 2023.09.13 |
류마티스 관절염, 간호, 의학용어 RA, 관절염, 요산/CASE STUDY (0) | 2023.09.12 |
무시무시한 통풍(Gout)! 원인, 예방법, 증상, 통증, 약물, 간호에 대해 알아보아요 (0) | 2023.09.12 |
요로결석에 대해 알아보아요!/Urinary tract calculi/ 증상, 원인, 쇄석술/간호/요로결석 수술/case (0) | 2023.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