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다양한 성인병에 관한 지식

류마티스 관절염, 간호, 의학용어 RA, 관절염, 요산/CASE STUDY

by 꾸던과건강 2023. 9. 12.

 

 

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1. 류마티스 관절염이란?

류마티스 관절염은 관절 부위 결합조직에 염증이 생겨 나타나는 만성적이고 전신적인 자가면역 질환입니다. 초기에는 관절을 감싸고 있는 '활막'에만 염증이 나타나지만 점차 주위 연골과 뼈로 번지며 관절이 파괴되고 변형이 나타납니다. 또한 류마티스 관절염은 증상이 관절에만 국한되지 않고 전신적인 증상도 같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주로 30-50대의 연령에서 발생하며 여성이 남성에 비해 발생율이 높다고 합니다.

 

 

2. 원인

류마티스 관절염의 명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인체의 면역계가 스스로를 공격하는 자가면역성 원인이 현재에는 가장 유력한 원인으로 이야기되고 있습니다.

 

류마티스 관절염은 비정상적인 면역글로불린 IgG에 대항하는 항체인 류머티즘 인자(RF)가 출현 되고 이 항체가 관절의 활막 액이나 표면 관절연골에 침착되는 면역 복합체를 형성하기 위해 IgG와 결합하게 됩니다. 면역 복합체 형성은 보체의 활성을 유도하고, 염증반응을 야기합니다.

 

관절 활막에 염증이 생겨서 연조직에 종창이 나타납니다.

 

3. 증상

류마티스 관절염의 증상은 관절과 관절 외 증상으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류마티스 관절염 증상은 잠행적으로 발병되며 피로, 식욕부진, 체중감소와 전신 강직 같은 비특이성 증상이 선행되어 나타나게 됩니다. 

 

1. 관절 증상

통증, 강직, 운동 제한, 염증증상이 발현되며 주로 손마디, 손목, 발목, 무릎, 팔꿈치,어깨, 엉덩이, 턱, 고관절과 같은 큰 말초 관절이 침범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ㆍ특징으로는 다발성 관절염이 대칭적으로 일어나며 보통 손가락, 발가락과 척추에는 잘 침범하지 않습니다. 만약 관절염이 대칭적이지 않다면 일반적인 관절염일 확률이 높습니다. 


ㆍ질병이 진행되면서 관절낭과 지지 구조물의 염증과 섬유화로 인해 변형과 장애가 나타납니다. 손에서의 척골편위, 백조목 변형, 단춧구멍 변형이 나타납니다. 발에는 무지외반증, 망치 발가락, 갈퀴발가락의 기형이 보이게 되고 경추 침범 시 C1-C2의 부분 탈구가 나타나게 됩니다.

조조강직 : 60분에서 1시간 이상 지속되어 나타나며 전형적으로 손의 중수지관절(MCP)과 근위 지(PIP)관 절이 붓고 압통과 통증이 동반됩니다.

건초염 : 주로 손목 주위의 건의 굴곡과 신전에 영향을 주어 수근터널증후군의 증상이 나타나며 물건을 잡는 행위를 힘들어하게 됩니다.

 

2. 관절 외 증상

다양한 관절 외 증상

류마티스 결절 : 단단한 육아종 형태로 피하에 생기며 일반적으로 손가락과 팔꿈치 같은 관절의 신전부에 위치합니다. 노인의 경우 척수와 후두부에 많이 발생하며 드물게 폐와 심막에도 생성됩니다. 결절은 잠 행적으로 나타나며 자연적으로 없어지기도 합니다. 류마티스 결절이 있는 환자의 경우 RF가 더욱 높게 나타납니다.

쇼그렌 증후군 : 누선과 침선의 분비가 감소되어 눈이 후끈거리고, 가려움을 호소합니다. 구강 건조증이 동반되며 눈물이 감소하고 광과민성을 경험합니다.

펠티 증후군 : 중증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게서 흔하게 발생하며 염증성 안질환, 비장비대, 림프샘 병증, 폐 질환(흉수, 간질성 폐 질환), 혈액질환(중성구 감소)

심장 질환 : 심낭염, 부정맥, 심장판막증

전신증상 : 관절 마디의 증상, 발열, 체중 감소, 만성피로, 조조강직, 말초부종

 

 

 

4. 류마티스 관절염 합병증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진단 1년 이내에 관절 파괴가 시작됩니다. 

ㆍ굴곡 구축, 손 변형으로 일상생활의 어려움
ㆍ결절성 근염과 근섬유화 변성으로 인한 혈관 부전과 유사한 통증
ㆍ백내장
ㆍ욕창, 피부 궤양
ㆍ성대결절
ㆍ척추 결절
ㆍ흉막염, 흉막삼출, 심낭염, 심낭 삼출, 심근증

 

 

 

5. 진단

ㆍ증상이 6주 이상 지속되는 경우
류머티스인자(RF), ACPA의 양성
CRP, ESR과 같은 염증 수치 증가
세 곳 이상 관절에서의 종창 (MCP, PIP, 손목, 팔꿈치, 무릎, 발목 등)
적어도 1시간 이상의 조조강직이 나타남
ㆍ대칭적인 관절 종창
ㆍ류마티스 결절 관찰

+

ㆍ활액 분석 : 활액이 섬유소 조각으로 인해 담황색을 띠며, 백혈구 수치가 상승하여 있습니다.
ㆍX-ray : 관절 연골 파괴, 침식, 부분 탈구, 변형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ㆍbone scan : 초기 관절 모양의 변화를 인지하는 데 유용합니다.

 

 

 

6. 치료

1. 약물 치료

당질 코르티코이드, NSAIDs, DMARDs가 사용되나 고용량의 아스피린이나 NSAIDs제제를 대신한 항류마티스제(disease modifying antirheumatic drugs, DMARDs)를 주로 사용합니다.

 

ㆍDMARDs

 - 메토트렉세이트(MTX, methotrexate) : Rheumatrix

면역억제제 MTX


 엽산길항제로 항류마티스제 사용 시 첫 번째로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빠른 항염 효과로 임상증상이 수일에서 수주 안에 줄여줍니다. 다른 약물에 비해 값이 저렴하고 독성이 낮습니다. 부작용으로는 골수억제, 간독성, 탈모, 구토, 설사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MTX를 투여하는 환자는 간 수치와 신장 검사를 주기적으로 받아야 하며 엽산 보충제를 같이 복용해야 합니다.

-하이드록시클로로퀸(HCQ, hydroxychloroquine) : Plaquenil
항말라리아제로 경증이나 중등도에도 효과적이며 빠르게 흡수됩니다. 상대적으로 안전하나 메토트렉세이트보다는 효과가 미미하다고 합니다. 부작용으로는 간독성, 설사, 기형 발생, 망막증 등이 있습니다.

 

-항 종양괴사인자(Anti-TNF) : etanercept, infliximab, adalimumab, Anakinra, abatacept
 Anakinra : IL-1 수용체 길항제의 재조합 제로 중등도나 중증의 류마티스 관절염과 관련된 통증과 종창을 감소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abatacept : 중등도에서 중증의 류마티스성 관절염 치료를 위한 생물학적 치료제로 T세포의 활성화를 차단합니다. 부작용으로는 심각한 감염과 심부전의 위험성이 높으며 지속적인 발열, 홍조, 출혈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ㆍrituximab : Anti-TNF에도 반응 하지 않는 류마티스성 관졀염 환자에게 메토트렉세이트와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B세포를 표적으로 하는 단일클론항체로 처음에는 2주 간격으로 2번 나누어 IV 투여합니다.

 

ㆍ그 외의 항류마티스제로는 항생제, 면역억제제, 금복합체가 있습니다.

 

ㆍ코르티코스테로이드 제

증상 조절을 목적으로 사용하며 갑작스럽게 진행된 통증과 염증을 완화시키기 위해 일시적으로 사용합니다. 골다공증과 혈관괴사 같은 합병증 위험이 있으므로 장기간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ㆍNSAIDs

관절 통증과 염증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하지만 본질적은 병력을 변화시키지는 못합니다.

 

 

2. 성분채집술

Prosorba column이라 불리는 혈액 여과기구로 항류마티스제에도 실패하거나 내성이 생긴 류마팃 관절ㄹ염 환자에게 사용됩니다. 환자의 혈액에서 류마티스인자를 제거하며 12주동안 일주일에 한번씩 치료 받게 됩니다.

 

3. 수술

인공관절 치환술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7. 간호

1. 통증관리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하도록 하고 근육 이완과 긴장 감소를 증진하기 위해 이완 술, 기분 전환, 열/냉요법을 시행합니다.

2. 관절운동

관절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하고 관절 운동 전 통증을 조절해줍니다. 관절 구축과 변형을 예방하기 위해 ROM 운동을 수동적/능동적으로 하도록 합니다.

3. 조조강직 간호

따뜻한 목욕물에 쉬도록 하고 따듯한 손에 물을 담그는 것이 관절 강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4. 휴식 간호

단단한 매트리스나 침대 판을 이용해 좋은 신체 선열을 유지하도록 합니다. 굴곡 자세를 피하도록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