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다양한 성인병에 관한 지식

무시무시한 통풍(Gout)! 원인, 예방법, 증상, 통증, 약물, 간호에 대해 알아보아요

by 꾸던과건강 2023. 9. 12.

통풍(Gout)

 

1. 통풍이란?

통풍은 요산결정 관절에 축적되어 염증 반응과 통증이 동반되는 질환입니다.

통풍은 1. 요산의 생산 자체가 증가하거나 2. 신장 질환으로 인한 배출 감소, 3. 퓨린이 함유된 음식을 많이 섭취하는 경우 발생하며 특징으로는 관절과 관절 주위 연부조직에 바늘 모양의 나트륨 요산 결정체의 축적이 관찰됩니다. 또한 고요산혈증(hyperuricemia)이 동반됩니다.

보통 크게 일차 통풍 이차 통풍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일차 통풍은 퓨린 대사의 유전적인 이상으로 인해 요산이 과도하게 생산되고 축적되는 것을 말하며, 이차통풍은 다른 질환으로 인해 발생하거나 요산 배출에 문제가 있어서 나타나는 경우를 말합니다.

통풍의 약 90% 이상은 일차통풍이 원인이며, 중년 남성에게 더욱 많이 발병합니다. 그 이유는 남성 호르몬에 신장에서 요산 배출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기 때문입니다.

 

 

2. 통풍의 위험요인

ㆍ알코올 중독

ㆍ비만

ㆍ고혈압

ㆍ당뇨

ㆍ약물로 인한 신장의 손상

ㆍ악성 질환

ㆍ골수증식성 질환

ㆍ신질환

ㆍ퓨린 함량이 높은 음식(예:게, 새우, 맥주, 렌즈콩, 아스파라거스, 시금치, 소고기, 닭고기, 돼지고기)

 

 

 

3. 통풍의 원인

요산은 퓨린 이화작용의 마지막 산물로 신장을 통해 배출되는데. 고요산혈증은 퓨린이 과도하게 합성되어 요산이 과도하게 생성되었거나 신장에서의 배출 저하로 인해 발생하게 됩니다.

1. 요산의 과다 생성

2. 요산 배출 장애

이러한 두 원인으로 요산(uric acid)이 축적되면 결정체가 만들어지게 됩니다. 만들어진 결정체는 관절의 윤활액으로 유입되면서 면역반응이 발생하게 되고 이때 방출되는 사이토킨과 단백질 분해효소로 인해 관절에 염증 증상이 나타나게 되는 것입니다.

 

4. 통풍의 증상

 갑작스러운 부종과 수 시간 내에 매우 심한 발작성 통증 경한 발열과 함께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특히 엄지발가락에 염증이 흔히 나타나며 그 외 발의 중 족근골 부분, 발목, 무릎, 손목을 침범합니다. 

(급성 통풍성 관절염은 손상, 수술, 알코올 섭취, 전신 감염과 같은 유발 상황에 의해 나타납니다.)

치료와 무관하게 통증은 2~10일 내에 혹은 한 달 내에 완화되며 급성 통풍 발작이 지나가면 몇 달 혹은 몇 년 동안에는 아무런 증상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통증 발작 시 경한 발열이 일어나는데, 이에 따라 요산 결정이 일시적으로 녹아 통증이 감소하게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제때 치료하지 않을 경우 약 60%에서 통풍 발작이 재발하기도 하고 만성 결절성 통풍이 발병하게 됩니다. tophi라고 하는 통풍 결절이 나타나며 이는 특히 활액낭, 연골하골, 팔꿈치 활액낭, 척추, 피부와 연골, 건을 따라 침범합니다. 시간이 지나면 관절 기형과 연골 파괴를 일으키고 이차적인 골관절염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또한 신장결석이나 요도 결석을 초래하기도 합니다.

 

 

5. 진단 검사

혈액 요산 수치 : 6mg/dL이상. 하지만 요산 수치가 낮음에도 통풍이 생길 수 있고 퓨린이 많이 함유된 음식을 많이 섭취하였을 때도 상승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지표는 아닙니다.

활액(관절) 천자 : 관절액에서 바늘 모양의 sodium urate 결정체가 관찰됩니다. 단, 골관절염과 화농성 관절염, 통풍과 같이 증상이 양측 비대칭 적일 때만 시행됩니다. 만약 홍반성 낭창, 류마티스 관절염처럼 관절염 증상이 대칭적인 경우에는 관절 천자를 시행하지 않습니다.

X-ray : 통풍 초기에는 정상으로 나타나나 만성인 경우에는 tophi가 관찰되며 뼈에서 침식된 부분이 관찰됩니다.

 

 

 

6. 통풍 치료

1. 약물요법

- 통증 조절(진통)

ㆍcolchicine(콜히친) : 진통 효과는 없으나 통풍 환자에게 항염증 효과와 요산 결정이 침착되는 것을 낮추는 기능이 있어 사용됩니다. 경구 투여 시 48시간 이내에 통증이 감소하며, 만약 이 약을 먹었을 때 통증이 감소한다면 통풍으로 진단할 수 있어서 진단적 가치도 있습니다.

ㆍ코르티코스테로이드 : 관절액에 주사하거나 경구 투여 시 급성기 증상 치료 탁월합니다. 위의 약물에도 진통의 효과가 없는 경우 시행합니다.

ㆍNSAIDs : 통증 관리를 위해 우선으로 처방되는 약물입니다.

 

- 예방 치료(퓨린 감소)

ㆍprobenecid : 요산뇨유인물질로 요산을 소변으로 배출하도록 돕는 기능이 있으며 투여 전 신장의 기능을 확인해야 합니다.

Allopurinol : 요산의 생성을 억제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약물이나 장기간 사용 시 신장과 간에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ㆍOxypurino : Allopurinol의 활성 대사산물로 알로퓨리놀이 적절하지 않은 환자를 위해 사용됩니다. 

febuxostat(페북소스타트) : 요산 생성 억제제로 알로푸리놀에 부작용이 있거나 잘 반응하지 않는 경우, 만성 통풍의 경우 처방될 수 있습니다. 

 

 

 

7. 간호

1. 침상 안정

관절이 이환된 경우 통증 예방하기 위해 크래들, 발 받침대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적당한 침상 안정은 이환된 관절을 부동 시키는 데 적절합니다.



2. 통증 중재

통증 발작이 나타나는 경우 처방된 약물을 즉시 투여하도록 하고, 발작이 지나간 후 환자에게 침상 안정을 하도록 지지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통증 발작이 재발하여 나타날 경우를 대비해 교육하도록 합니다.



3. 비만 관리

체지방량이 높은 경우 통풍이 발생할 위험이 높으므로 반드시 적절한 체중 관리를 하도록 합니다.



4. 식이 관리

퓨린이 함유된 음식을 조절하도록 합니다. 술(특히 맥주)과 붉은 고기, 동물의 내장, 등푸른생선, 조개, 게, 새우, 지방이 많이 함유된 음식을 최대한 자제 하도록 해야합니다. + 과당, 현미밥, 귀리 또한 퓨린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고 합니다. 몇 가지는 건강한 식재료이지만 퓨린이 많이 함유되어 조심하도록 해야합니다. 하지만 전부 하나하나 조절하며 먹을 수는 없으니 술과 고기, 동물의 내장만이라도 최대한 절제하며 먹는 것이 좋습니다.



5. 약물 교육

통풍은 음식을 조절하여 퓨린이 함유되지 않은 음식을 먹는 것보다 당뇨나 고혈압처럼 약물을 복용해 꾸준히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므로 처방된 약물을 정확하게 복용하는 것이 중요하며 약으로 인한 부작용이 나타나는 경우 즉시 전문의와 상담을 통해 약을 조절하도록 해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