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추 추간판 탈출증(Herniation of intervertebral disk)
1. 추간판 탈출증 이란?
우리 몸을 지탱해주는 기둥인 척추는 여러 척추뼈가 모여있습니다. 이러한 척추뼈들 사이사이에는 추간판이라는 말랑말랑한 조직이 들어있는데 이를 흔히들 말하는 디스크라고 합니다. (추간판 = 디스크)
디스크는 척추 사이에서 척추들끼리 부딪히지 않도록 보호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우리가 어떠한 활동을 해도 디스크는 쿠션 역할을 하면서 척추를 보호해줍니다. 하지만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바르지 않은 자세를 취하면 디스크가 밖으로 나오게 됩니다. 디스크가 돌출되어 신경을 누르게 되면 통증이 발생하는데 이를 추간판 탈출증이라고 합니다.
2. 원인
1. 노화에 의한 원인
노화가 진행되면 추간판은 탄력과 유연성, 완충력을 잃고 추간판 수핵에서 수분이 빠져나가 수축하며 추간판이 얇아지게 됩니다. 추간판이 얇아지면 신경근과 척수가 눌리고 손상되게 됩니다.
2. 척추의 스트레스에 의한 원인
무거운 물건을 자주 드는 직업군이나 척추에 스트레스를 많이 주는 행동을 하거나 부상 등에 의해 발생할 위험성이 높아집니다.
3. 증상
요추 추간판 탈출증의 가장 흔한 증상은 요통입니다. 또한 다리 저림이 많이 나타나는데 좌골신경을 따라 둔부와 무릎 아래 발까지 방사되는 신경근 통증이 나타납니다. 만약 신경근 다발이 눌리면 변실금이나 요실금, 발기불능까지 동반되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아래의 표에 더욱 자세하게 정리해보았습니다.)
추간판 탈출 부위에 따른 임상증상 | ||||
척추 | 주관적 통증 | 반사 손상 | 운동 기능 | 감각 |
L3-4 | 허리에서 둔부, 허벅지 뒤, 종아리 안쪽으로 방사 | 무릎반사 | 대퇴사두근, 전경골근 | 다리 아랫 부분 안쪽, 대퇴부 앞쪽 |
L4-5 | 허리에서 둔부, 발등, 엄지 발가락으로 방사 | 없음 | 전경골근, 엄지발가락 신전근, 중간 둔부근 | 발등과 엄지발가락 |
L5-S1 | 허리에서 둔부, 발바닥과 뒤꿈치로 방사 | 아킬레스건반사 | 비복근, 슬건, 큰 둔부군 | 뒤꿈치와 발 외측 |
4. 진단
ㆍ하지 직 거상 검사
누운 상태에서 한쪽 다리를 90도 이상 굴곡을 줬을 때 통증이 나타나면 양성으로 허리 디스크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정상인의 경우 다리를 쉽게 들어 올릴 수 있으나 허리 디스크 환자의 경우 디스크가 돌출된 쪽의 요추 신경이 눌리며 같은 쪽 다리와 엉덩이에 심한 통증을 느끼게 됩니다.
ㆍX-ray, CT, MRI
구조적 문제를 발견하기 위해 시행합니다.
ㆍ신경 검사
신경 반사, 감각, 근력 검사를 통해 신경의 기능 이상을 평가합니다. 요추 추간판 탈출증이 있는 경우 신경이 눌려 있으므로 다리의 근력이 약화하여 있거나 감각이 둔해지거나 신경 반사 기능이 떨어지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5. 치료
1. 비수술적 치료
추간판 손상이 의심되는 환자는 우선 4주 정도 비수술적 치료를 시행합니다.
ㆍ움직임 제한(고정기, 코르셋, 벨트) - 완전한 침상 안정은 아닙니다. 약 3~5일 정도의 침상 안정 기간이 좋습니다. 보조기를 장기간 착용할 경우 근력이 약해질 위험이 있으므로 근력 운동도 병행해야 합니다.ㆍ비만한 환자의 경우 척추에 하중이 가해지므로 적절한 체중감량을 하도록 해야 합니다.
ㆍ국소 냉온 요법
ㆍ초음파
ㆍ마사지
ㆍ물리치료
ㆍ경피전기신경자극(TENS)
ㆍ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SAIDs) 약물
ㆍ근육 이완제나 아편 계 진통제
ㆍ경막외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주사
2. 수술적 치료
보존적 치료에도 반응하지 않고 통증이 줄어들지 않고 신경증상(변실금, 요실금, 신경근병증 악화)이 나타나면 수술을 시행하여야 합니다.
ㆍ추간판 내 고주파 열 치료(IDET) : 허리 통증과 좌골통이 있는 환자가 외래에서도 할 수 있는 수술 방법으로 침습이 가장 작은 방법입니다. 의사가 X-ray 영상을 확인하여 바늘을 추간판에 삽입합니다. 바늘을 통해 추간판에 고주파열을 전달하면 추간판 주변에 증식했던 작은 신경섬유 기능이 파괴되고 그 자리에 더 튼튼한 단백질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ㆍ고주파 추간판 수핵 성형술 : 위와 같은 방법으로 추간판에 바늘을 집어넣어 고주파선을 주입하는 방법입니다. 고주파선은 에너지를 발산하면서 추간판 수핵 안에 있는 겔의 분자 연결을 끊으며 수핵을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ㆍ감압기 삽입술 : 티타늄으로 만든 장치를 요추에 삽입하는 방법으로 요추 협착으로 인한 통증이 심한 환자에게 시행됩니다.
ㆍ척추후궁 절제술 : 척추후궁을 절제하고 탈출한 추간판을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ㆍ추간판 절제술 : 현미경으로 추간판과 추간판 강의 시야를 확보하며 문제가 되는 추간판 부분만 절제하는 방법입니다. 가장 좋은 방법으로 수술 후 성공률이 약 95% 이상 입니다.
ㆍ경피 레이저 추간판 절제술 : 형광경을 통해 복막 뒤 공간을 통해 추간판 옆으로 관을 삽입한 후, 레이저로 문제가 되는 추간판 부분에 쏘는 방법입니다. 수술 자국이 작으며 출혈의 위험도 작습니다.
ㆍ인공 추간판 : 퇴행성 추간판질환의 경우 시행됩니다. 문제의 추간판을 제거한 후 인공 추간판을 삽입합니다.
ㆍ척수 융합술 : 척추 구조 자체가 불안정한 경우 시행합니다. 척추가 더 단단히 고정되도록 막대기, 판, 금속 나사 등으로 고정합니다.
6. 허리 디스크 간호
1. 바른 선열 유지, 자세 간호
수술 후 치유가 될 때까지 항상 척추의 체열을 바르게 유지하도록 해야 합니다. 침상 안정은 1~2일 정도 하도록 하며 환자 체위를 바꿀 때는 통나무 굴리기 기법을 시행하여 움직이도록 합니다. 수술 후 회복상태에서 환자가 몸을 속이거나, 물건을 들어 올리거나, 쭈그려 앉기 전 조심하도록 해야 하고 척추가 휘는 동작은 절대 해서는 안 됩니다.
2. 통증 관리
모르핀과 같은 아편 계 진통제를 투여하거나 PCA 장치를 통해 환자 스스로 통증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합니다. 경구약으로는 코데인을 함유한 아세트아미노펜, 옥시코돈 등이 처방이 될 수 있습니다.
3. 뇌척수액 누출 관리
수술 중 척수관을 침범하게 되므로 뇌척수액이 누출될 위험이 있습니다. 환자가 심한 두통을 호소하거나 드레싱 할 때 투명하거나 연노란색의 뇌척수액이 보이면 즉시 알리도록 해야 합니다.
4. 사지 말초신경 평가
환자의 팔다리 움직임과 감각을 자주 반복해서 평가해야 합니다 감각 이상이나 근육 약화가 심하게 발생한 경우 즉시 의사에게 알려야 하며 체온, 모세혈관 재 충혈, 맥박 등 사지의 순환 상태도 점검하여야 합니다.
5. 소화기계 간호
수술 후 며칠 동안은 마비성 장폐색과 배변 장애가 나타날 수 있으며, 오심, 복부팽만, 변비가 나타나므로 환자에게 복부 팽만이 있는지 평가하여야 합니다. 정도에 따라 처방된 변 완화제가 도움이 됩니다.
6. 신경계 간호
괄약근이나 방광의 긴장도가 줄어드는 경우 신경 손상을 의심하여야 합니다. 환자가 실금하거나 배뇨, 배변이 힘들다면 주의 깊게 모니터링하여 의사에게 알려야 합니다.
7. 예후
이미 튀어나온 추간판을 원래 상태로 되돌려놓는 것은 어려운 일이어서 사실상 완치는 어렵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디스크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통증 관리입니다. 환자가 적절한 통증관리만 된다면 구조적으로 추간판이 원래 상태로 돌아가지 않아도 괜찮다고 합니다. 평소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고령의 경우 디스크가 약해져 있는 상태로 무거운 물건을 절대 들어서는 안 됩니다.
'다양한 성인병에 관한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퇴행성 질환 알츠하이머 치매란 무엇일까요?/노인 간호/치매 환자 간호 (0) | 2023.09.14 |
---|---|
뼈에 생기는 염증인 골수염에 대해 알아보아요. 원인, 증상, 간호, 치료 (0) | 2023.09.13 |
뼈가 사라지는 무서운 질환 골다공증(Osteoporosis) 증상, 예방, 간호 (0) | 2023.09.13 |
관절염, 통증 관리, 치료, 원인, 증상, 의학용어 OA (0) | 2023.09.13 |
류마티스 관절염, 간호, 의학용어 RA, 관절염, 요산/CASE STUDY (0) | 2023.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