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 지식 공부하기

L-tube에 대해 알아보아요/비위관/간호/PEG 간호/의학용어 PEG

by 꾸던과건강 2023. 7. 31.

1. L-tube (Levin tube) 삽입(비위관 삽입)

 

 

1. 목적

식도, 구강 내 질환이 있거나 무의식 상태로 인해 음식물 섭취가 불가능한 경우 기도흡인 위험성이 있어 비위관 삽입을 실시하여 비위관으로 통해 유동식을 제공합니다. 구강 섭취가 가능하더라도 충분한 영양 섭취가 부족한 경우에도 시행 합니다.

 

2. 준비 물품

L-tube(관급용 16~18Fr), Enema syringe, 멸균 장갑, 윤활제, 고정할 반창고, 청진기

 

3. 비위관 삽입 방법

1. 손을 씻고 물품을 준비하여 환자에게 갑니다.

2. 개방형 질문으로 환자 확인 후 환자에게 방문목적을 알린 후 커튼을 칩니다.

3. 환자의 침상머리를 올려 반좌위를 취해준 후 멸균 장갑을 착용하여 삽입 길이를 확인합니다.

 (삽입길이 : 코 끝 -귓 볼, 귓 볼-검상돌기 (약 60-70cm)

4. L-tube 끝에서 약 15~20cm 정도에 윤활제를 바른다.

5. 비강을 통하여 L-tube 를 삽입한다.

 (처음 삽입 시 머리를 약간 구부리도록 하며 의식이 있는 환자는 삼키는 동작을 하도록 하여 환자가 침을 삼킬 때마다 밀어 넣습니다.)

6. 삽입 길이를 확인하고 튜브 끝 위치를 위해 enema syringe로 20cc의 공기를 주입하면서 좌상복부에서 바람 소리가 들리는지 확인합니다.(청진기로)

7. 콧등에 고정 반창고를 부착하여 L-tube를 고정하고, 고정핀으로 환의에도 고정한다.

8. 환자를 정리해주고 손 위생을 시행합니다.

9. L-tube 삽입 길이, 삽입 시간, 환자 반응을 간호기록지에 남깁니다.

 

 

 

2. L-tube , PEG tube feeding 간호

1. 방법

1. 손을 씻고 필요한 물품을 준비하여 환자에게 갑니다.

 (준비물품 : 처방된 관급식, feeding bag, 청진기, enema syringe)

2. 개방형 질문으로 환자를 확인하고 방문 목적과 절차에 대해 설명합니다.

3. 기침, 구토로 인한 기도흡인을 예방하기 위해 앉은 자세를 취하도록 합니다.

4. 튜브 위치와 잔여량을 확인합니다,(잔여량 50cc 이하시 feeding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5. feeding전 약 30-50cc의 물을 관통하고 tube를 이용하여 30-60분에 걸쳐서 주입합니다.

6. feeing 중 오심, 구토, 복통, 설사 및 불편감이 있는지 확인하고 주입 후에는 30-50cc의 물을 주입하여 튜브의 개방성을 유지하도록 합니다.

 

2. 비위관, 위관 교체 시기

 L-tube : 1개월

 PEG tube : 내시경을 이용하여 삽입한 경우 12개월, 투시촬영을 이용해 삽입한 경우 6개월

 

3. 주의사항

1. 관급식을 주입할 때마다 튜브의 길이와 상태를 확인합니다. (길이가 맞게 고정되어 있는지, 튜브끝이 제대로 위치해 있는지). 

2. 튜브가 막히거나 누출이 있는 경우에는 복막강 내에 염증이 생기므로 구토, 발열, 복통의 증상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4. 위관, 비위관 영양을 시행하면 안되는 경우

1. 구토 

2. 위 잔여물이 50cc 이상 관찰될 경우

3. 위관 혹은 비위관으로 혈액 양상이 관찰되는 경우

4. 쌕쌕거리는 숨소리가 들리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