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욕창에 대해 알아보아요! / 욕창 간호/ 욕창 단계 / 욕창 사정 / 욕창 관리 방법

by 꾸던과건강 2023. 8. 1.

욕창(sore)

 

 

1. 욕창이란?

압박 받는 부위 어느 곳에서도 발생합니다.

지속적이거나 반복적으로 압박받은 신체 부위에 혈액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해당 조직에 산소와 영양공급이 제대로 되지 않으므로 발생하는 궤양을 말합니다. 욕창 발생 단계에 따라 피부, 피하지방, 근육까지 피부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욕창 발생 위험 요소

1. 피부 습기

피부가 많이 습하거나, 침대 시트가 젖어있는 경우 욕창 발생 위험성이 증가합니다. 만약 피부에 염증이 있는 경우에는 더욱 위험할 수 있습니다.

2. 영양 상태

영양 결핍이 있는 경우 압박 부위에 영양 공급이 줄어들어 욕창 발생 위험성이 증가합니다.

3. 마찰과 전단력

환자의 자세를 변경해주거나 환자를 이동시킬 때 마찰로 인해 피부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침상 머리를 올릴 때 환자가 미끄러져 내려오면서 전단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주로 천골 부위에서 발생하며, 이로 인해 기존 욕창이 있는 환자는 욕창 부위가 더욱 악화될 수 있습니다.

4. 기동력

활동에 제한이 있는 와상환자 혹은 기동성이 제한된 환자는 욕창 발생 위험성이 높습니다.

5. 관류와 산소화

혈액 순환 또는 산소 공급이 신체에 원활하게 전달되지 않는 환자의 경우 욕창이 발생할 위험성이 높습니다.

 

 

3. 욕창 사정

1. 상처의 크기

욕창의 가장 긴 길이(가로)와 이에 수직인 가장 긴 높이(세로)를 CM단위로 측정합니다. (욕창 환자 인계 할 때 선생님들이 쏘아가 몇 씨엠이다. 하시는 것!)

 

2. 상처의 깊이

욕창의 깊이를 말하며 생리식염수를 묻힌 면봉을 조심스럽게 삽입하여 깊이를 측정합니다. 

 

3. 삼출물의 발생 유무

욕창에서 나오는 삼출물의 양상과 양을 관찰해야 합니다. 삼출물의 양상은 혈액성, 장액성, 화농성, 부패성으로 나누어볼 수 있습니다..

 

4. 상처 가장자리와 주변 피부

상처의 가장자리(맨 끝)으로 부터 4cm 까지를 상처 주위 피부라고 합니다. 이 부분의 온도와 색, 촉감, 통증, 부종, 벗겨징, 흉터 여부 등을 확인해야 합니다.

 

5. 욕창 발생 기간

욕창이 발생한 후 2주내에 치유가 되지 않는 경우 환자의 치료계획을 다시 검토해야 합니다. 

 

 

 

4. 욕창 예방 간호

1. 피부 간호

 1. 피부 세척 - 피부 표면의 피지, 습기, 기름기, 오염물들을 세척해 줍니다.

 2. 적절한 피부 보습제 적용

 3. 마사지 - 압박 받은 부위의 피부를 가볍게 두드려 주거나 쓸어주어 압박 부위의 혈액 순환을 촉진하도록 합니다.

 

2. 실금, 실변 관리

소변이나 대변은 피부를 화학적 자극과 습기에 노출되어 욕창 발생 위험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환자가 와상 환자인 경우 주기적으로 기저귀와 패드를 확인하여 바로 교환해주도록 합니다.

 

3. 영양 관리

환자에게 적절한 영양을 골고루 섭취하도록 권유 합니다.

 

4. 자세 변경

신체의 취약한 부위에 압력을 줄이도록 주기적(약 2시간 내외)으로 자세 변경을 하도록 합니다.

 

5. 공기 침대(air matt)

 

6. 예방적 드레싱 적용

환자의 뼈가 많이 압박되었거나 압박 부위가 빨갛게 일어난 경우 예방적으로 드레싱을 적용해 줍니다.

 

 

 

5. 욕창 치료

1. 드레싱

ㆍ욕창 부위가 깨끗하고 육아조직이 형성되면 상처 치유를 촉진하고 욕창 부위의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해 드레싱을 해줍니다.

ㆍ환자의 피부 상태와 욕창 단계에 따라 다양한 드레싱 제제를 선택합니다.

 

1. 고 흡수성 드레싱 : 반 접착성 ~ 비 접착성 층에 수분 흡수 능력이 높은 다층 드레싱 입니다. 다량의 삼출물을 흡수하도록 하여서 피부의 짓무름, 피부의 손상과 파열, 누출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2. 필름 드레싱 : 드레싱 아래 피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삼출물을 흡수하지는 않으므로 1차 드레싱 후 고정 목적으로 사용 합니다.

필름 드레싱

3. 하이드로 콜로이드 드레싱 : 삼출물을 흡수하고 괴사조직을 제거하기에 용이합니다.

gkd하이드로 콜로이드

4. 하이드로 겔 드레싱 : 상처 치유를 촉진할 수 있는 습윤 환경을 조성합니다. 자가 분해 괴사조직 제거를 촉진합니다.

하이드로 겔

5. 알지네이트 드레싱 : 생리적으로 습윤한 미세 환경을 오랜 시간 유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항균 작용이 적어 일차적이나 단독으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알지네이트

6. 폼드레싱 : 상처의 삼출물을 흡수합니다.

7. 거즈 드레싱 : 흡수성이나 감염률이 증가할 수 있고 자주 교체를 해주어야 하며 교체 시 통증으로 많이 사용되지는 않습니다.

 

2. 괴사 조직 제거(Debriement) - 데브리망

ㆍ조직부위에 괴사가 많이 일어난 경우 외과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죽은 조직 뿐만 아니라 살아있는 조직까지 제거하므로 섬유아세포와 상피세포 분열을 촉진시키는 물질과 염증세포를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성장인자 생산을 자극하게 됩니다.